토목공학과의 또 다른 이름: 건설환경공학과,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사회인프라공학과
안녕하세요 CE멘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국 토목공학과 리스트와 어떤 과목을 배우는지 아주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옛날에는 학과명에 '토목공학' 이라는 이름이 들어갔었는데 요즘에는 건설, 사회, 환경 등의 키워드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학과명만 다르고 다 비슷한 공부를 합니다. 공대 통틀어서 수학과 물리(그 중에서 고전역학)를 제일 많이 사용하는데, 모르고 입학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학교별 학과명을 간단하게 정리를 했으니, 헷갈리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토목공학과 리스트
한국에 대학교가 많아서 다 담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일부 학과명이 업데이트가 안 돼있을 수도 있으니 피드백 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토목공학과 리스트 (가나다순) | |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학부 |
경기대학교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 |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명지대학교 토목교통공학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중앙대학교 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
한양대학교(서울) 건설환경공학과 | 한양대학교(ERICA)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
토목공학과는 뭐를 배우는 학문일까? 학과의 존재 이유는 뭘까?
학교마다 강한 분야가 있겠고, 커리큘럼도 조금씩 다르지만, 대학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배우는 영역은 크게 5가지가 있습니다. 1) 구조공학, 2) 수자원공학, 3) 지반공학, 4) 건설재료, 5) 환경공학이 있습니다. 물리와 수학을 잘 하면 학과생활이 편하고, 잘 못하시면 처음에 적응하시는데 힘드실 수가 있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하면 다들 잘하실 겁니다
결국에는 토목공학은 '토목구조물을 어떻게 안전하게 지을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수학, 물리를 활용해서 대답하고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이를 위해서 위에서 언급드린 5가지의 분야를 열심히 밤새가면서 공부하게 됩니다.
토목구조물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실 수 있는데, 교량(다리), 댐, 터널, 도로, 항구, 공항, 해상풍력, 플랜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다면 밑에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토목과 건축의 차이는 뭘까? 한 컷 정리
토목과 건축의 차이 토목과 건축 차이점이 몰라서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토목공학과 대학교 생활을 하면서 주변에서 질문이 들어왔을 때 바로 답변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또한 금
cement.tistory.com
이번에는 간단하게 토목공학과의 다른학과 이름들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학문의 존재이유를 간단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추후에 조금 더 디테일하고 전문적인 내용을 다룰 예정이니 다음 편을 기다려 주세요.